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차량용 소화기 의무설치 작은 준비로 큰 안전을 지키세요!

by 브라이트빌 2025. 3. 19.

차량 화재는 예기치 않게 발생하며,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차량 내 화재는 빠르게 확산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차량용 소화기의 의무 설치 기준, 추천 제품, 올바른 설치 위치 등을 알아보며 보다 안전한 운행을 위한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차량용 소화기 설치, 의무일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일정 규모 이상의 차량에 차량용 소화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 승차 정원이 7인 이상인 승합차

* 버스

* 화물차

* 특수 차량 등은 반드시 차량용 소화기

* 어린이 통학버스 

 

어떤 차량용 소화기가 적절할까?

차량용 소화기를 선택할 때는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소화기 종류: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CO2) 소화기, ABC 분말 소화기

2) 크기 및 용량: 차량 내 공간을 고려하여 1~2kg 정도의 소형 소화기

3) 사용 편리성: 원터치 방식이나 레버 방식 소화기

4) 공인 인증 여부: 소방청이나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에서 인증받은 제품

 

차량용 소화기, 어디에 두어야 할까?

소화기를 설치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입니다. 

 

운전석 및 조수석 하단

센터 콘솔 내부

운전석 또는 조수석 문 안쪽 포켓

트렁크 내부

 

차량용 소화기 유지 및 관리 방법

차량용 소화기는 구매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유지보수해야 긴급한 상황에서 제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 확인: 일반적으로 차량용 소화기의 사용 기한은 5년 정도이며, 기간이 지나면 교체해야 합니다.

압력 게이지 점검: 소화기에는 압력을 확인할 수 있는 게이지가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점검하여 정상 범위인지 확인하세요.

노즐 및 분사구 점검: 먼지나 이물질이 막혀 있으면 화재 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정 상태 확인: 차량 이동 중 소화기가 굴러다니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해야 합니다.

 

차량용 소화기,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차량 화재는 예고 없이 찾아오며, 초기 진화가 실패하면 걷잡을 수 없이 커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운전자들이 차량용 소화기의 필요성을 간과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차량용 소화기는 크기가 작지만 매우 강력한 화재 대응 도구입니다.

 

법적 의무 여부를 떠나 모든 운전자가 차량용 소화기를 비치하고 정기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작은 준비가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점을 잊지 말고, 지금 바로 차량용 소화기를 점검해보세요!